2009년 3월 9일 월요일

빙하에서 발견된 유럽 최고(最古) 미라

  1991년 9월 19일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 국경 사이에 있는 Schnalstal 빙하에서 이 지역을 여행하던 독일인 부부 Helmut Simon과 Erika Simon에 의해 한 시체가 발견됐다. 그러나 이들은 곧 여느 시체와 달리 허리 아래가 빙하 얼음 속에 묻힌 미라라는 것을 알게 된다. 신고를 받은 오스트리아 관련 기관은 조사에 나섰지만, 고고학 지식이 없다고 볼 정도의 허술한 발굴 작업으로 말미암아 엉덩이 부분이 훼손됐고, 또한 발굴이 있기 전 일반인의 접근을 허용하여 미라가 입고 있던 옷과 미라 주위의 몇몇 도구가 사라지기도 했다. 위키미디어로 가면 발견 당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외츠탈(Ötztal)이란 지명을 따서 외치(Ötzi)라 이름 붙여진 이 미라는 오스트리아 Innsbruck에 있는 한 시체 보관소로 옮겨졌고, 5,300년 전에 살았던 '유럽 최고(最古)의 미라'라는 사실이 밝혀지자 전 세계 고고학계는 발칵 뒤집혔다. 이 미라는 5,000년 동안 얼음 속에 묻혀 지냈으나, 알프스 만년설이 녹아내리면서 상반신이 드러났기 때문에 어찌 보면 기후 변화가 생명의 은인(?)인 셈이다. 같은 해 10월, 발견 지점에 대한 정밀조사가 이루어져 이탈리아 국경선 안쪽으로 92.56미터 지점이라는 것을 알아냈고, 이 미라는 다시 이탈리아 Bolzano의 고고학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이 미라의 더 자세한 모습을 보길 원하는 분은 미라/냉동인간 연구소인 EURAC Research를 방문하시되, 너무나도 선명한 사진이 보는 이로 하여금 역겨움을 느끼게도 할 수 있으니, 임신부나 비위가 약하신 분은 위 링크를 클릭하기 전에 한 번 더 생각하시기 바란다. 참고로 말하면 사진 왼쪽 위에는 +, - 표시로 된 확대 버튼이 있어 엄청나게 선명한 사진을 볼 수 있다.

  5세기 전에 살았던 이 사람이 빙하에 갇히게 된 원인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 결과가 있고, 최근엔 가슴을 관통한 화살이 치명상을 입혔다는 것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런 것과는 별개로, 발견 당시 다른 한 곳에선 지루한 싸움을 준비한다. 바로 이 미라를 둘러싼 법정 싸움이다.

  1994년 이탈리아 관련 기관은 미라를 발견한 독일 부부에게 10만 리라(€5,200, 약 천만 원)를 제안했으나, 이들은 거절한다. 2003년, 이 부부는 Bolzano 법정에서 외치 발견의 공을 인정하고 공식적인 발견자로 등록해줄 것은 요청한다. 이탈리아 법원은 이를 받아들였지만, 같은 해 12월 이 부부가 보상금으로 미국 돈 30만 달러를 요구하자 지방 정부는 이를 거절하고 상소한다. 그런데 뜬금없이 한 슬로베니아 여배우가 나타나 자신이 이 미라를 제일 처음 발견했으며 지나가던 독일 부부에게 미라의 사진을 찍어 달라 부탁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한 스위스 사람은 자신이 미라를 먼저 발견했고 DNA 테스트에서 자신의 DNA가 발견되도록 침을 뱉어놨다고 주장했지만, 전문가들은 어떤 흔적도 발견하지 못한다. 그러다 불행히도 남편인 Helmut Simon이 이듬해인 2004년에 죽고, 2006년 6월에야 비로소 이탈리아 법원으로부터 최초 발견자로 인정받아 마무리되는 듯 했으나, 보상금 지급 책임이 Bolzano 정부로 돌아가자 이 지방 정부는 여러 이유를 들어 5만 유로 이상은 곤란하다며 또다시 대법원에 상소한다. 2년이 지난 2008년 9월 29일 14년에 걸친 이 법정 공방은 양측이 합의하여 Bolzano 정부가 Simon 부인에게 15만 유로(약 3억 원)를 지급하는 것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똑같은 상황이 나에게 닥친다면 자신은 없지만) 그깟 시체 한 구가 뭐길래, 그깟 돈이 뭐길래. 그나저나 이 미라가 세상 빛을 보게 된 것은 지구 온난화 때문일까, 아니면 기후와는 상관없이 그저 나타날 때가 되어서 발견됐던 것일까? : )


왠지 관련있어 보이는 글

이런 역사가 되풀이 되지 않길 바란다
나일 강과 아마존 강의 순위다툼
40년째 홀로 성당을 짓고있는 남자
숫자없는 언어를 사용하는 아마존 원주민
피터지게 싸우는 볼리비아 사람들 - Tinku Festival


댓글 16개:

  1. 역시 돈이 문제로군요 ㅎㅎㅎㅎ;;;;;



    미라 상태가 매우 좋네요 ㅎㅎ

    답글삭제
  2. 애초에 10만 리라 주겠다고 했을 땐 액수가 너무 적어서 거절했을까요? ㅎㅎ

    답글삭제
  3. @PPT 커뮤니케이션즈 - 2009/03/10 05:54
    돈과 관련되면 지저분해지기 십상이죠. ㅎㅎ

    보존 상태가 좋은 미라 중에선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미라라고 합니다.

    답글삭제
  4. @ginu - 2009/03/10 11:58
    저라도 그랬을겁니다. ㅍㅎㅎㅎ 보물을 발견했는데, 천만원 먹고 떨어지라굽쇼? 안될말씀입니다. :)

    답글삭제
  5. 사진 보고 왔는데 정말 잘 찍었네요. ^^

    답글삭제
  6. 미라사진을 자세히 보니 남자인것 같기도 하고요.

    엉덩이 쪽이 파져 있으니 조금 그렇네요.

    좀 더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으면 좋았을텐데요.

    답글삭제
  7. 하하..며칠전에 기즈모도에서 보고 마침 오늘 발행했는데 뽕찌찌가 되어버렸네요. 사실 어제 발행하려다가 한일전 승리의 기쁨에 도취되어 한잔꺾고 잠이 들었슴돠. -ㅅ-;; 그래도 Odlinuf님 글보고 몰랐던 사실도 알게 되었네요. 5000년된 미라쟁탈전이라니..흐흐..

    답글삭제
  8. trackback from: 5,300년전 미라의 생생한 피부조직, 고해상도 사진 :: icemanphotoscan.eu
    ▲ 피부조직과 발목의 문신이 선명하게 남아있는 미라의 모습. ⓒ EURAC 생명의 존귀함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어떠한 것과도 비교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 세상의 모든 것은 우리가 살아있기에 상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고 죽으면 사라지는 한시적인 것이기 때문입니다. 지상의 삶이 영원하지 않기 때문에 기록물을 남길 지식이 부족했던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을 우리는 들여다 볼 길이 없습니다. 짐작만 할 뿐입니다. 하지만 약 5,300 여 년 전에 사망했을..

    답글삭제
  9. 지구 온난화까지 생각하시다니 ~~ ㅋㅋ

    그나저나 미라/냉동인간 연구소 방문해서 줌인해서 보다가 너무 무서워서 바로 웹사이트 닫아버렸네요 ㅡㅡ;; 꿈에 나올까 무섭네요 @.@

    답글삭제
  10. trackback from: 5,300년 전 냉동인간이 세상에 알려지다!?
    5,300년 전의 미이라.. 몇 년 전부터 이슈가 되던 이 미이라에 대한 기사가 오늘 또 뉴스에 올라왔네요. 보통 미이라를 생각하면 시체의 유형을 보존하기 위해서 붕대로 꽁꽁 감아놓은 것을 미이라라고 생각하시는데요. 이 미이라의 경우는 이집트의 스핑크스나 피라미드가 아닌 빙하 속에서 발견된 것으로 화제가 되었습니다. 빙하 속에서 발견된 미이라 사건.. 1991년 9월 19일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 국경 사이에 있는 Schnlstal 빙하에서 이 지역을..

    답글삭제
  11. @JUYONG PAPA - 2009/03/10 13:56
    정말 선명하죠? 처음 화면이 해상도가 제일 낮은 걸 알고는 어찌나 놀랐는지.

    답글삭제
  12. @칼림 - 2009/03/10 15:15
    그러게 말입니다. 인간은 참 욕심쟁이. ㅎㅎ :)

    답글삭제
  13. @Krang - 2009/03/10 20:12
    저는 어디서 봤더라..음...기억이 안나네요.

    한일전은 점수상으로 재미는 없었지만, 긴장감 넘치는 빅게임이었죠. ㅎㅎ 9회에 동점되거나 뒤집히면 어쩌나 하고 걱정했는데, 그대로 끝나 다행이었습니다. 2라운드 가서는 시원하게 이기면 좋겠군요. :-)

    답글삭제
  14. @greenfrog - 2009/03/11 08:14
    오날 밤 꿈에 나올 겁니다. 쿨럭..

    답글삭제
  15. trackback from: 인류문명의 대역사가 시작된다.
    http://tvpot.daum.net/clip/ClipViewByVid.do?vid=ZbCjGcvYreo$ http://blog.daum.net/pado3650 좋은예감에서 펌. 전시명 : 한국박물관 100주년 기념 이집트 문명전 '파라오와 미라'展 전시 기간 : 2009년 4 / 28 ~ 8 / 30 전시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답글삭제